MTB/MTB기술

[스크랩] [펌] 매뉴얼(Manual)과 윌리(Wheelie)

구름위를 걷다 2006. 6. 24. 13:44
 

재미있고 화려한 스트리트 기술
매뉴얼(Manual)과 윌리(Wheelie)

매뉴얼과 윌리는 모두 앞바퀴를 들고 달리지만 페달링 유무에 따라 기술이 구분된다. 매뉴얼은 페달링 도움 없이 체중이동만으로 앞바퀴를 들고 달리는 테크닉이다. 윌리는 앞바퀴를 들 때 페달링을 해야 하고 주행 중에도 페달링을 계속하는 점이 다르다. 매뉴얼과 윌리는 상당히 어려운 기술로 오랜 기간 꾸준히 연습해야 익힐 수 있다

이상준(프로코렉스 소속 트라이얼 선수) 


매뉴얼(Manual)과 윌리(Wheelie)는 트라이얼 기물에서 거의 쓰이지 않지만 일반적인 길거리 주행(Urban street) 때 가장 많이 즐기는 기술이다. 매뉴얼은 주행 중에 체중이동만으로 앞바퀴를 들고 페달링 없이 균형을 잡으며 계속 뒷바퀴로만 달리는 기술이다. 윌리는 주행하다가 순간적인 페달링 힘을 이용해 앞바퀴를 들고 계속 페달링을 하면서 뒷바퀴로만 달리는 테크닉이다.
매뉴얼과 윌리는 상당한 균형감각이 필요해서 하루 아침에 익힐 수 없고 끝없이 도전해야만 해낼 수 있다. 필자는 약 3개월의 노력 끝에 윌리에 성공했고 매뉴얼은 그보다 약간 더 걸렸다. 트라이얼 기술을 익히는 데 지름길은 없는 만큼 포기하지 말고 성공할 때까지 끝까지 노력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다.

 

매뉴얼(Manual)
주행 중 페달링 없이 체중이동으로 앞바퀴를 들고 뒷바퀴로만 주행하는 기술이다. 평지나 계단, 흙길 등 주행이 가능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응용할 수 있는 화려한 기술로, 익숙해지면 요철이 심한 다운힐에서도 구사할 수 있다.
① 주행을 시작한다(처음 연습 때의 속도는 10km 정도로 유지한다). 순간적으로 상체를 핸들 쪽으로 낮춰준다.



[패달링을 멈추고 시속10km정도로 주행한다]


② ①번 동작에 이어 상체를 일으키면서 몸쪽으로 핸들을 당긴다. 앞바퀴가 들리면 양팔을 곧게 펴서 지면과 수평이 되게 유지한다. 앞바퀴가 너무 들리면 뒷브레이크를 살짝 잡아준다(뒷브레이크에는 항상 손가락이 올려져 있어야 한다. 앞바퀴를 너무 많이 들어 뒤집어질 경우를 대비해서 어떤 상황에서도 브레이킹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순각적으로 상체를 낮춰준다]


③ 앞바퀴가 들려서 처음 균형을 잡을 때는 브레이크를 이용하고, 이후에 양팔을 곧게 뻗어 균형이 유지되었을 때는 무릎을 이용해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 앞바퀴가 떨어지려고 하면 엉덩이를 뒤로 움직여야하므로 무릎을 뻗어 엉덩이를 뒤로 움직여주고, 너무 넘어가는 느낌이 들면 다시 무릎을 굽혀 엉덩이를 균형점에 유지해주면 된다.



[상체를 일으키며 몸쪽으로 핸들을 당기면 앞바퀴가 돈다]


④ 균형을 잡고 달리는 도중에는 어느 한쪽 팔에 힘이 더 들어가거나 덜 들어가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되면 균형이 쉽게 흐트러져 한쪽으로 쓰러지기 때문에 항상 두 팔에 같은 힘을 줘야 한다.



[앞바퀴가 들리면 양팔을 곧게 편다]



[무릎을 이용해 앞뒤 균형을 유지한다]


⑤ 착지할 때는 뒷브레이크를 잡으면 앞바퀴가 내려오게 된다.



[뒷브레이크를 잡으면 앞바퀴가 내려온다]

 

 

윌리(Wheelie)
매뉴얼과는 달리 앞바퀴를 들고 페달을 밟으며 다리의 힘을 이용해서 주행하는 기술이다. 매뉴얼보다 많은 거리를 갈 수 있고 브레이킹 감각을 익히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된다. 윌리 드롭을 하기 위한 기본기술이기도 해서 프리라이딩을 추구한다면 꼭 익히도록 하자.


① 천천히 달리기 시작한다(속도는 걸음걸이 또는 속보로 걷는 듯한 느낌으로 주행하면 되고 기어는 가볍게 둔다). 순간적으로 상체를 숙였다가 스탠딩 때 앞으로 가는 발로 페달을 1~2시 위치에서 힘껏 차준다.



[천천히 주행하다 상체를 낮춘다]


② ①번 동작에 이어 핸들을 당기면서 상체를 뒤로 눕듯이 젖혀준다. 앞바퀴가 너무 들려 뒤로 넘어갈 것 같으면 뒷브레이크를 살짝 잡아서 균형을 잡아주고, 앞바퀴가 떨어지려고 하면 다시 페달을 밟아준다(이때 자세는 상체가 지면과 수평이 되고 양팔은 곧게 뻗어준다).



[핸들을 당기면서 페달을 밟고 상체를 뒤로 일으킨다]


③ 주행 중 자전거가 왼쪽으로 쓰러지려하면 오른쪽 무릎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해서 페달을 밟아주고, 오른쪽으로 쓰러지려하면 왼쪽 무릎을 바깥으로 벌려서 균형을 잡아준다. 앞뒤로 균형을 잡는 방법은 ②번 동작과 같다.



[앞바퀴가 들리면 양팔을 곧게 편다]


④ 브레이킹을 할 때는 페달을 밟는 속도도 같이 맞춰야 한다. 뒤로 넘어질 것 같으면 브레이킹을 하면서 페달을 느리게 밟고, 앞바퀴가 떨어질 것 같으면 브레이크를 풀고 페달을 빨리 밟아주는 것이다.



[뒤로 넘어질것 같으면 뒷브레이크를 잡는다]



[앞바퀴가 떨어질것 같으면 페달을 빨리 밟아준다. 착지는 메뉴얼과 같다]


⑤ 뒷브레이크를 잡아 앞바퀴를 내리면 기술이 끝난다.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할 트라이얼 상식
트라이얼 바이크는 사이클용 리어 디레일러를 많이 쓴다. 사이클용 카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호환을 위해서 같이 쓰는 측면도 있다. 또 체인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체인의 출렁거림으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고 그만큼 체인의 장력이 강해져서 페달을 찰 때 반응이 빨라지는 특성도 있다. 그렇다고 MTB용 뒷변속기를 쓸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체인의 장력 측정방법은 뒤 카세트는 2~3단에 변속한 뒤 안장을 잡고 뒷바퀴를 10~15cm 높이로 들어 떨어뜨렸을 때 체인이 튀어 체인스테이에 닿지 않는 정도가 제일 좋다. 장력이 알맞게 조절되었다면 페달 바니홉이나 프론트 러칭 때 체인이 튀어 체인스테이에 부딛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체인장력을 정확히 조정해야 체인스테이에 체인이 닿지 않는다]

 

포인트-앞바퀴를 쉽게 들기 위해서는 뒤로 눕듯이 핸들을 당겨주고, 이때 엉덩이는 뒷바퀴 허브축을 중심에 두고 상체는 지면과 수직에 가까운 자세가 나와야한다.

출처 : 청아회친구들
글쓴이 : 고인돌 원글보기
메모 :